상대적인 정보열위에 있는 소액개인투자자의 경우 기관투자자와 같은 전문가그룹과 동등한 입장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의 금융상품에 직접투자를 통해 수익을 올린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따라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전문가에게 대신 투자를 의뢰하는 간접투자방식이다. 그중에서도 다수 투자자의 자금을 신탁받아 형성한 자금을 여러 종류의 자산에 분산투자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투자지분에 따라 배분하는 간접투자제도인 펀드(fund)투자가 가장 보편적이다.
펀드의 장점
-운용 전문성: 펀드운용사는 투자자들에게서 모은 거액의 돈으로 우수한 펀드매니저를 기용할 수 있다. 대규모 조사 분석팀을 운영하는 곳도 있다.
-분산투자: 많은 펀드가 수백 종의 증권에 투자하므로, 투자자는 1~2개의 펀드에만 투자해도 고도로 분산된 포트폴리오를 가질 수 있다.
-환금성: 펀드 지분을 주식처럼 하루에도 몇 번씩 매매할 수느 없어도 보통은 아무 거래일에든 사고팔 수 있다.
-적당한 가격: 몇백,몇천 달러로 투자를 시작할 수 있는 펀드가 많다. 수수료는 제각각이지만, 대체로 헤지펀드보다 훨씬 저렴하고 투자금 100달러당 단돈 몇 센트를 수수료로 받는 초저가 펀드도 존재한다.
-당국의 관리감독: 펀드는 정기적으로 자산운영보고서를 발행하고, 매일 보유 자산의 가치를 공시해야 하며, 엄격하게 정해진 자산 구입 조건을 따라야 한다
펀드의 종류
-주식형 펀드: 주식에 투자
-채권형 펀드: 채권에 투자
-머니마켓(단기금용시장)펀드: 매우 안전한 단기 부채에 투자
-혼합형 펀드: 주식과 채권에 함께 투자
-생애주기펀드: 고도로 분산된 포트폴리오에 투자(투자자의 은퇴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보수적으로 운용된다.)
펀드 수수료
펀드투자에는 이러한 이점이 있지만, 자금을 위탁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다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우선 자신의 자산을 대신 운용해 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운용수수료가 발생한다. 운용수수료는 펀드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결정되는데, 가장 보편적인 형태가 매년 운용자산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떼는 것으로 보통 연 0.5%에서 2% 사이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펀드 상품을 결정할 때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이 운용수수료이다.
다음은 판매수수료이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증권사나 은행을 통해 판매되는데, 이때 판매 업무를 맡은 금융회사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판매수수료라고 하고, 보통 판매금액의 0.5~1.5%를 선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은 환매수수료이다. 펀드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경우도 있지만, 일부 펀드는 계약에 정해진 기간 이전에 투자자금을 회수할 때 환매수수료를 부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환매수수료 체계는 펀드에 따라 다양하므로 펀드 투자자는 펀드 선택시 환매수수료 여부와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그 밖에 펀드에 투자한 증권을 보관한 대가로 수탁회사에 지불하는 보관수수료와 펀드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무관리 비용인 사무관리수수료가 있지만, 금액은 각각 연 0.02~0.05%로 크지 않다.
핵심정리
-펀드는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서 다양한 증권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만듭니다.
-펀드의 장점은 운용 전문성, 분산 투자의 용이성, 비교적 저렴한 수수료, 당국의 강력한 관리감독입니다.
-펀드는 다양한 자산에 투자합니다. 펀드의 위험성과 수익성은 보유한 자산에 따라 달라집니다.
'방 구석 경제학 > 누구나 아는 경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Bonds) (0) | 2022.10.25 |
---|---|
ETF(Exchange Traded Fund) (0) | 2022.10.19 |
디플레이션(DEFLATION) (0) | 2022.10.18 |
PPI(생산자 물가 지수) (0) | 2022.10.18 |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