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구석 경제학11 디플레이션(DEFLATION) 디플레이션이란 경제학에 있어서는 통화공급과 신용의 수축으로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하락 현상을 말한다. 디플레이션의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모든 경제학자의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은행신용의 급격한 수축과 총지출의 부족이 물가수준의 하락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되고 있다. 디플레이션은 보통 물가수준의 하락뿐만이 아니라 생산의 감소와 실업의 증가가 수반되며 경기순환의 하강 국면과 관련된다. 디플레이션하에서 대부분의 가격은 하락하나 모든 가격이 똑같이 하락하는 것은 아니다. 정액 소득자들의 수입은 다른 사람들의 수입에 비해 덜 감소하므로 그들은 디플레이션으로 이득을 보는 셈이 된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이 소득의 원천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만 해당하므로 실업의 위험이 매우 큰 경우에는 그럴 가능성이 거의.. 2022. 10. 18. PPI(생산자 물가 지수)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국내(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한 지수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매력을 가늠하는 지수라면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의 비용 증가, 즉 생산원가와 관련이 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급 동향 파악과 경기 동향 판단지표, GDP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된다.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기초가격(basic prices)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기초가격은 생산자가 실질적으로 수취하는 가격으로서 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세, 담배소비세, 부가가치세 등 각종 세금은 포함되지 않으며 생산과정에서 수취한 생산물 보조금을 합산한 가격이다. 물가의 정의를 살펴보면 물가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개별 가격이 아니라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2022. 10. 18.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일상생활에 쓰기 위하여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이다. 물가지수를 측정할 때 모든 상품의 가격을 조사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상품의 가격변동이 중요한가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입장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지하철 요금의 인상은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물가상승의 현실로 다가오지만 기업에는 생산원가의 직접적인 인상 요인으로 다가오지는 않는다. 그러나 철판 가격의 인상은 소비자보다 생산자에게는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생산자의 입장에서 유용한 물가지수와 소비자의 입장에서 유용한 물가지수는 다르게 작성되어야 한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산정 소비자물가지수는 도시 가계의 평균적인 생계비 내리는 구매력의 변동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물가.. 2022. 10. 14. 경제학의 역사 경제학이 체계적인 학문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출판한 1776년 이후이다. 애덤 스미스 이전에 경제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닌데, 이를테면 경제에 대한 노동가치설의 효시가 되는 내용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출판할 당시, 각 개인의 경제적 자유는 지금처럼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지 않았다. 국가가 개인의 경제 활동을 통제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여겨졌고, 세금, 수출입 규제 등은 체계적인 이론 없이 자의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애덤 스미스는 시장의 자율적인 조정 능력을 강조하며, 개인이 사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사회 전체의 이익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였다. 애덤 스미스는 국가가 개인의 경제 활동에 개입하지 않아도 시장에서의.. 2022. 10. 13. 이전 1 2 3 다음